가스터빈(Gas Turbine) 성능 이론67 3.6 주요 열역학적 파라미터의 상호관계를 보여주는 차트(2) 2023.04.04 - [가스터빈(Gas Turbine) 성능 이론] - 3.6 주요 열역학적 파라미터의 상호관계를 보여주는 차트(1) 3.6.4 건공기 온도 엔트로피 다이어그램 대부분의 열 엔진 사이클은 온도-엔트로피(T–S) 다이어그램의 도식화된 그림을 통해 대학 수준에서 학습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내부 블리딩 및 냉각 흐름과 같은 '실제' 엔진 효과로 확장하는 데 어려움이 있지만, 알려진 엔진 사이클의 전체 열역학을 나타내는 유용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차트 3.18은 건공기에 대한 실제 온도-엔트로피 다이어그램을 구체적인 수치와 함께 일정한 압력 선도를 보여줍니다. 관련 다이어그램은 공개 문헌에서 보기 드문 것입니다. 중요하게 고려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정한 압력에서 온도를.. 2023. 4. 6. 3.6 주요 열역학적 파라미터의 상호관계를 보여주는 차트(1) 2023.03.30 - [가스터빈(Gas Turbine) 성능 이론] - 3장 건공기, 연소 생성물 및 기타 작동 유체의 특성 및 차트 2023.04.02 - [가스터빈(Gas Turbine) 성능 이론] - 3.2 주요 열역학적 파라미터 설명 및 3.3 건공기 및 연소 생성물의 구성 2023.04.03 - [가스터빈(Gas Turbine) 성능 이론] - 3.4 계산에서 CP와 감마 또는 비 엔탈피와 엔트로피의 사용 및 3.5 기초 및 열역학적 기체 특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3.6 주요 열역학적 파라미터의 상호관계를 보여주는 차트 3.6.1 압축성 유동 또는 'Q' 곡선 일반적으로 Q 곡선이라고 불리는 압축성 유동 곡선은 흡기, 배기 시스템 및 압축기 또는 터빈 사이의 덕트와 같이 일 또는 열전달이 없.. 2023. 4. 4. 3.4 계산에서 CP와 감마 또는 비 엔탈피와 엔트로피의 사용 및 3.5 기초 및 열역학적 기체 특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2023.03.30 - [가스터빈(Gas Turbine) 성능 이론] - 3장 건공기, 연소 생성물 및 기타 작동 유체의 특성 및 차트 2023.04.02 - [가스터빈(Gas Turbine) 성능 이론] - 3.2 주요 열역학적 파라미터 설명 및 3.3 건공기 및 연소 생성물의 구성 3.4 계산에서 CP와 감마 또는 비 엔탈피와 엔트로피의 사용 CP와 감마 또는 비 엔탈피와 엔트로피는 성능 계산에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사용 방법은 정확도와 계산 복잡도를 높이기 위해 아래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본 내용은 연소기를 제외한 모든 가스 터빈 구성 요소를 다룹니다. 3.4.1 CP 및 감마에 대한 상수, 표준값은 일반적으로 다음 근사치를 사용합니다: . Cold end gas properties . Hot e.. 2023. 4. 3. 3.2 주요 열역학적 파라미터 설명 및 3.3 건공기 및 연소 생성물의 구성 2023.03.30 - [가스터빈(Gas Turbine) 성능 이론] - 3장 건공기, 연소 생성물 및 기타 작동 유체의 특성 및 차트 3.2 주요 열역학적 파라미터 설명 가스 터빈 성능 계산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주요 열역학 매개 변수는 아래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들의 상호 관계는 앞에서 설명한 기본 가스 특성값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러한 매개변수들과 함께 3.5절에서는 모든 성능 계산에 충분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합니다. 3.2.1 전 또는 정체 온도(T) 전 온도는 일이나 열전달 없이 기체의 흐름을 정지시킬 때 발생하는 온도입니다. 여기서 '정지 상태'는 엔진에 상대적인 것을 의미하며, 지구에 상대적인 비행 속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특정 지점의 전 온도와 정 온도 간의 차이를 동 온도라고 합니다.. 2023. 4. 2.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7 다음